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토레스 EVX에 탑재되는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

by laredoute 2023. 10. 3.
반응형
토레스 EVX 블레이드 배터리 탑재

KG모빌리티의 전기차 '토레스 EVX'에는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가 탑재되었습니다. 이 배터리는 73.4kWh 용량의 리튬인산철 (LFP) 블레이드 배터리로, 1회 충전 주행거리는 433km를 확보했습니다.

 

토레스 EVX


블레이드 배터리는 배터리 셀을 배터리 팩에 바로 담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동일 공간에 더 많은 배터리를 넣어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 LFP 배터리의 약점이었던 에너지 밀도를 개선하고 주행거리를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한, 블레이드 배터리는 가장 엄격한 배터리 내구성 시험으로 알려진 '못 관통 테스트'도 통과했다고 전해졌습니다. 이 테스트에서 NCM 배터리는 못이 관통하는 순간 격렬한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한 반면, 블레이드 배터리는 화염이나 연기 등 어떠한 현상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블레이드 배터리 관통시험


KG모빌리티는 이 배터리를 10년/100만km까지 보증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출시 전부터 중국산 LFP 배터리의 성능에 대한 우려가 기대로 바뀌는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반응형

 

블레이드 배터리 구조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한 종류로, 특별한 구조와 조립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레이드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작동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배터리가 충전되면 양극의 리튬 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며, 음극의 리튬 이온이 양극으로 돌아가며 에너지를 방출, 방전됩니다.

 

블레이드 배터리


블레이드 배터리는 칼날처럼 얇고 긴 배터리 셀을 여러 개 끼워 만드는 방식으로 조립됩니다. 이는 기존 전기차용 배터리보다 납작하게 만들어져 공간을 크게 절약하고 중량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블레이드 배터리는 모듈화 과정을 생략하고 셀을 바로 팩에 담는 CTP (Cell-to-Pack)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배터리 내부에 더 넉넉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공간에 더 많은 셀을 넣음으로써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주행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728x90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가 탑재된 차량

1. BYD 전기차와 대형 트럭, 지게차, 전기버스
2. 테슬라 모델 Y
3. 현대자동차가 중국에서 생산하는 일부 전기차
4. BYD의 전기버스 (eBus) 및 전기트럭

또한, BYD는 중국의 제일자동차그룹(FAW), 아우디, 포르쉐와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차량에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블레이드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